본문 바로가기

자바 프로그래밍/1장. 자바 프로그래밍이란

2. 자바 개발환경 설치하기

반응형

자바 프로그램을 만들려면 코드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기와 실행 환경인 쉘(도스쉘 또는 유닉스 쉘)과 컴파일러가 있어야 한다.

 

이 중에서 컴파일러는 운영체제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별도로 다운로드 해야 한다.

 

2-1 두 가지 버전의 자바 컴파일러

 

자바 컴파일러는 자바를 만든 Sun Microsystems

사에서 배포하는 파일이었으나  

사가 Sun Microsystems 사를 인수함으로써 한 동안 오라클 사이트에서 자바 컴파일러를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해왔다.

 

 

하지만 오라클이 자바 JDK를 유료화 함으로써 무료버전을 사용하려는 사람들은 오라클 JDK에 포함된 컴파일러를 사용하지 못하고 그 대신 OpenJDK에 포함된 컴파일러 이용하고 있다.

 

 

자바 JDK는 수 많은 기업들이 사용하고 있는 플랫폼이기 때문에 자바를 사용하는 기업들이 함께 모여서 표준을 정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선을 보이는 첫 버전이 OpenJDK이다.

 

자바 표준을 정하고 OpenJDK를 만드는 곳은 JCP(https://jcp.org/en/home/index)라는 곳이다.

 

 

이 곳의 멤버쉽으로 등록된 멤버들이 의견을 게시하고 표준을 만들어서 OpenJDK를 만들고 그 결과물을 멤버쉽들이 가져가서 각자의 환경에 맞도록 최종 패키징을 한다.

 

유료화를 하기 전에는 일반적으로 OpenJDK에 오라클의 내용을 포함한 최종 패키징을 한 결과물을 사용했었으나 그것이 유료화가 되면서 이제는 대부분 OpenJDK를 바로 받아서 사용한다. 

2-2 자바 컴파일러 다운로드

1.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openjdk 사이트(https://jdk.java.net/archive/)를 방문한다.

 

 

2. Releases 목록에서 Windows 64-bit의 zip 파일 링크를 클릭한다. 다음처럼 임의의 폴더를 만들어서 그곳에 다운로드 한 파일을 압축 해제한다.

 




2-3 설치된 컴파일러 확인하기

JDK가 올바로 압축이 풀리고 문제가 없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JDK 압축이 풀린 홈 디렉토리에서 bin 디렉토리를 확인한다.

 

 

그림에서 선택된 파일 javac.exe가 자바 컴파일러이다. 이 파일은 도스(DOS)와 같은 명령창을 통해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다.

 

따라서 다음과 같은 [명령 프롬프트] 창을 실행한다. 실행 방법은 시작메뉴에서 [Windows 시스템] 그룹을 통해서 실행할 수 있다.

 

 

명령어 프롬프트 창의 기본 쉘은 DOS 쉘이다.  쉘(Shell)이란 사용자의 입력을 받게 하는 운영체제의 기능이다.  우리가 사용하는 운영체제 MS Windows 에서는 두 개의 기본 쉘을 가지고 있다. 

 

명령 프롬프트 상에서 키보드를 이용해서 명령어를 입력받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DOS 쉘이 있고, 마우스를 이용해서 더블클릭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탐색기 쉘이 있다.

 

이 외에도 파워쉘도 있다.

 

2-4 컴파일러 버전 확인하기

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javac를 실행하려면 “경로”와 “파일명”을 함께 입력해야 한다. 현재 필자의 경우  javac.exe가 있는 경로는 C:\Tools\jdk-16.0.1\bin 이다. 따라서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javac를 실행하려면 다음처럼 실행해야만 한다.

 

Microsoft Windows [Version 10.0.19043.1110]
(c) Microsoft Corporation. All rights reserved.

C:\Users\newlec>C:\Tools\jdk-16.0.1\bin\javac

 

그런데 현재는 번역할 소스코드가 없으므로 javac 컴파일러의 버전 정보만 출력해보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만 확인해보도록 하자.

 

javac 에 옵션(-version)을 넣어서 실행한다.



C:\Users\newlec>C:\Tools\jdk-16.0.1\bin\javac -version
javac 16.0.1

 

그럼 위와 같이 컴파일러 버전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. 






반응형